reference: Computer Networking 3판. James F. Kurose, Keith W.Ross
* 네트워크 코어 구성 방식 : 에는,
    -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이 있다.

* 회선 교환 네트워크 : 에서 다중화 방식은,
    -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시분할 다중화(TDM : Time-Division Multiplexing) 로 나뉜다.

* 패킷 교환 네트워크 :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
    - 가상회선 네트워크(virtual-circuit network) : 가상 회선 번호를 이용 하고,
    - 데이터그램 내트워크(datagram network) : 호스트 목적지 주소를 이용한다.

* 지연 유형 : 에는,
    - 처리지연 : 패킷을 어디로 보낼지 결정하는 시간,
    - 큐잉지연 : 패킷이 전송되기를 기다리는 시간,
    - 전송지연 : 패킷 스위치는 '저장 후 전달 전송' 방식을 이용하며, 이 사이에 지연되는 시간. 패킷일 L 비트로 구성되고 패킷이 R bps 속도로 출력 링크에 전달될 때, L/R 초 만큼의 시간이 지연된다.
    - 전파지연 : 패킷이 링크의 처음에서 끝까지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 2 * 10^8 ~ 2 * 10^8 mps로서 빛의 속도와 같거나 약간 작다.

* 패킷 손실 : 큐가 전부 차 있어 도착한 패킷이 저장될 수 없을 경우, 라우터는 그 패킷을 버린다. 이를 가리켜 패킷 손실이라 칭한다.

* SDU : Service Data Unit, PCI : Protocol Control Information, PDU : PCI + SDU
* SAP(Service Access Point) : OSI 7 Layer에서의 계층간 통신 지점.

* OSI Session Layer :
    - 응용프로그램 간의 논리적 연결 확립 및 관리
    -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설정 및 동기 제어 관리
    - 동기점 삽입

* OSI Presentation Layer : 두 응용 entity 간의 data 표현차이 해소.
    - ASCII <-> EBCDIC, 압축 <-> 해제, 암호화 <-> 복호화
반응형
Posted by 어쨌건간에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