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트는 개인 스터디 용으로 작성된 Ian Sommerville의 Software Engineering, 8/E의 요약본입니다.
4. 프로세스 측정(Process measurement)
- 정량적 프로세스 데이터는 가능한한 모든 곳에서 수집되어야 : 프로세스 표준이 없는 조직에서는 측정 대상을 알아내기 힘듬. 따라서 측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프로세스를 먼저 정의해야
- 프로세스 측정은 프로세스 개선 평가에 사용되어야 : 이는 측정이 개선을 유도한다는 뜻이 아님. 개선 자체가 조직의 목표가 되어야.
- 프로세스 측정의 분류
  1) 프로세스 활동이 완료되기까지 걸린 시간. e.g. 캘린더 시간
  2) 프로세스 또는 특정 활동에 필요한 리소스. e.g. 총 工數(person-days)량.
  3) 특정 이벤트 발행 횟수. e.g. 발견된 결함 개수
- 프로세스 측정은 측정 대상을 식별하는 것이 가장 어려움. GQM 패러다임은 무엇을 측정할지, 어떻게 이용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데 유익.
  1) Goal(목표) : 조직이 성취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2) Questions(질문) : 목표에 관계된 불확실한 영역에 대한 질문
  3) Metrics(척도) : 질문에 대해 답변하기 위해 측정치가 수집되어야.

5. 프로세스 분석과 모델링(Process analysis and modelling)
- 기존 프로세스를 연구하여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추상 모델을 개발
- 당 모델은 보통 graphical하게 표현됨. 여러 뷰가 요구됨
- 해당 모델을 분석하여 프로세스의 문제를 분석. 분석에는 프로세스 행동에 대한 이해당사자와의 의논과 가능한 프로세스 변경 발견을 포함함
- 프로세스 분석 기술
  1) 기존의 프로세스 모델과 프로세스 표준 분석
  2) 설문과 인터뷰
  3) 민속학 연구
- 프로세스 모델 요소 : 활동(activity), 프로세스(process), 산출물(input, output), 조건(condition), 역할(role), 예외(exception), 통신(communication)
프로세스 모델의 예(모듈 테스트 행동)

프로세스 모델의 예(모듈 테스트 행동)

프로세스 모델 요소 설명

프로세스 모델 요소 설명

- 프로세스 예외 : 프로세스 모델은 이상적 상황만을 기술. 프로젝트 관리자는 예외를 처리할 책임이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세스는 동적으로 변경 가능해야

6. 프로세스 변경(Process change)

- 기존의 프로세스에 대한 수정. 새로운 프랙티스, 방법론 또는 프로세스의 소개, 프로세스 행동의 순서 변경, 산출물의 도입 또는 제거, 새로운 역할 및 책임 도입 등이 포함
- 변경은 반드시 축정 가능한 목표에 의해 이루어져야
- 프로세스 변경 단계
  1) 프로세스 개선 사항 식별(Identify improvements)
  2) 우선순위 결정(Prioritise improvements)
  3) 프로세스 변경 도입(Introduce process change)
  4) 프로세스 변경 훈련(Train engineers)
  5) 변경 조정(Tune process change)
프로세스 변경 단계
반응형
Posted by 어쨌건간에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