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막상 해야 할 때는 미친듯이 잠이 쏟아오더만, 막상 일 끝나고 보면 이렇듯 말똥말똥이다. 거참. 삼십 나절을 한참이나 지난 지금에서도 어째 이렇듯 내 자신이 통제가 안되는가 말이다. 아...


잃어버린 아이들의 도시

공식적으로는 장 삐에르 주네 감독의 두 번째 작인 듯. 뭔가 모르게 델리카트슨을 그대로 연상시키는 아멜리에를 보고 실망해서 이 아저씨는 여기가 한계인가 보다... 했는데, 나만의 착각이었음을 아주 확실하게 보여준 영화. 잠깐... 아멜리에는 델리카트슨 기준 10년 뒤에 만들어진거고, 본 영화는 4년 뒤에 만든 것임을 감안한다면 이 아저씨는 나이먹고 김이 빠진건가??

디스토피아의 음침함, 우울함, 지저분함... 이 썩이나 유쾌하지 못한 분위기를 델리카트슨 마냥 특유의 아기자기함으로 상쇄시켜버리는 그 독특한 능력은 뭐라고 표현해야 할까?
설정은 또 어떻고. 아이의 꿈을 훔침으로 조로병을 치유하려는 미치광이 과학자나 다섯 쌍둥이 멍청한 복제 인간. 수족관 안의 뇌가 신체 전부인 인간하며, 샴 쌍둥이 마녀, 애완용 벼룩, 이 벼룩을 살인 병기로 사육하는 마약에 찌든 청부업자, 외눈박이 장님 사이비 종교 단체까지. 이렇듯 정상인보다 비정상인이 판치는 싸이코의 세계에서, 뚱딴지 같이 아이의 순수성이 중앙에서 떡하니 자리잡은 이 상황은 또 무엇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듯 극단적 소재, 서로 전혀 어울리지 않을 듯한 소재들을 한데 모아내어 이야기로, 그것도 '풍부한 내용의' 이야기로 엮어낸 그 능력은...움매. 신들린 상상력에 신들린 이야기꾼으로 밖에 표현 못하겠다.

'매우' 범상치 않은 본 이야기 안에 분명 담겨있는 듯한 '시사적' 메시지를 내가 아직까지도 잡아내지 못한건 너무도 당연하다. 난 지극히 평범하니까. 그와 같은 고차원은 나 따위가 범접할 무엇이 아니다.

참 묘한 것이, 박찬욱 감독 영화에서의 고정 출연 멤버인 송강호나 신하균은 그 출연 자체만으로도 짜증이었는데, 본 감독에 대한 고정 출연인 도미니크 삐뇽에게서는 그런 감정을 안 느낀다는 것. 고정 출연이 문제가 아니라면... 박찬욱의 영화에서는 뭐가 문제였을까?

영화 자체만으로도 이루 말할 수 없이 뛰어나지만, 그 무엇보다도 본 영화의 초점은 주연 꼬마 여자아이인 Judith Vittet(불어로 뭐라 발음해야하는지 몰겠다)에게 있다. 이 아이는 영화에서 뿐 아니라 실제로도 애 늙은이가 분명하다. 그렇지 않고서야 그 냉소적 눈빛 아래 감춰진 미세한 감정표현을 어찌그리도 잘 해낼 수 있겠나. 감독 왈 이 쉽지 않은 영화를 '전부' 이해했단다. 완전 놀라왔다고. 더 놀라운 것은 이 아이의 꿈은 건축가이기에 본 영화 이후로 배우의 인생을 깨끝이 접었다는 사실. 그 차가웠던 눈빛 만큼이나 머리 역시 차가운가 보다. 난 그 아이...가 아닌 그녀, 그 애 늙은이에게 뿅 가버렸다. 압도되었다.

아래 스틸 컷은 이 애 늙은이가 뿜어대는 아우라 모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아트(art:예술,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사와 악마(Angels and Demons)  (2) 2009.09.05
나쁜 사마리아인들  (0) 2009.09.04
박쥐  (2) 2009.05.22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2) 2009.03.21
아주르와 아스마르(Azur Et Asmar)  (0) 2009.03.16
Posted by 어쨌건간에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