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하간 그 순간 머리 - 뇌 중심부에 미치는 깊이로, 턱에서 정수리까지 냉기가 솟구침과 동시에 머리털이 전부 솟는 듯한 느낌이 스쳐갔다.
이런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찾게된 팔정도(八正道).
오늘에야 알았다. 정견(見)이 단순히 '보다'가 아닌 '이해 understanding - 관점'에 까지 나아가는 의미였다는 것을. 오히려 내가 알고 있던 '정견'이란 '정념(念) awareness - 깨어있음'에 해당하는 것이었음을.
이외에도 잘못 알았던게, 이들 道가 순서대로 중요하다고, 따라서 정견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이들 각각은 전부 따로따로 외워 수행해야하는 무엇으로 바라봤다는 점이다. 하지만 위 그림에서 보다시피, 이들 각각은 하나로 묶여 있으며, 나아가 하나를 수행할 때 다른 모두가 함께 딸려오는 것으로 논의되고 있다(이러한 이유로 실제 팔정도는 원어로 복수가 아닌 단수 표현으로 이루어지며, 영역으로도 Noble Eightfold Path란 단수형이란다). 오히려 이들 중 가장 강조되온 것은 '정정(定) - Mediation'으로 본 수행이 정견을 낳는다는 이야기가 붙어있네(http://ko.wikipedia.org/wiki/%ED%8C%94%EC%A0%95%EB%8F%84).
어찌되었건, 요즘 팔정도 기준에 날 비춰보자면 모자랐던 언행, 생각 투성이었음을 새삼 떠올린다. 연기(緣起)설에 의하면 위 몸땡이의 변화는 그에 대한 결과가 되겠고. ㅡㅡ;;
p.s. 역시 한문보다 영어가 이해하기 좋다. 정념이 깨어있음(awareness)를 가리킨 것이었음을 그 단어만 보고 누가 알겠는가...
'자성(Introspect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올 논어이야기 와중에. (0) | 2012.10.14 |
---|---|
生而不有, 爲而不恃 長而不宰, 是謂玄德 (0) | 2012.05.26 |
되돌아보기 : 팔정도(八正道) (0) | 2011.05.24 |
미사 중에 떠오른 생각들.. (2) | 2010.07.06 |
평정심 (0) | 2009.06.08 |
저항 (0) | 2009.06.04 |
TAG 팔정도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