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스래딩 하에서의 스래드 상태(Running, Ready, Blocked) 전이 kernel mode(supervisor mode) 커널 모드란 시스템 수준 소프트웨어에서 코드를 통해 변경 가능한 하드웨어 중재(hardware-mediated) 플래그이다. 시스템 수준의 작업 또는 스래드는 running상태 동안 이 플래그를 갖고 있는 반면 사용자(user) 공간 응용은 그렇지 못하다. 이 플래그는 다양한 descriptor table을 위한 레지스터의 수정하거나 인터럽드를 불능케 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등의 machine code 연산을 가능케 한다. operation을 (user와 kernel이란) 두 가지 모드로 나눈다는 본 아이디어는 '더 많은 제어는 더 많은 책임이 따른다'는 원칙에 입각한 것으..
제프리 릭터의 Programming Applications for Microsoft Windows에 담긴 내용입니다. 쓰래드와 메시지 : 기본 규칙 프로세스 하나가 10,000개에 이르는 제각기 다른 종류의 사용자 객체(아이콘, 커서, 윈도우 클래스, 메뉴, 단축키 테이블 등)를 생성할 수 있다. 한 쓰래드에서 이들 객체 중 하나를 생성하는 함수를 호출했을 때, 생성된 객체는 그 쓰래드의 프로세스가 소유하게 된다(이 말은 프로세스가 죽으면 그 객체도 함께 죽는다는 말이다). 반면 윈도우(window)와 훅(hook) 객체는 그 윈도우를 생성하거나 훅을 설치한 쓰래드가 소유한다(이 말은 그 쓰래드가 죽으면 그 객체도 함께 죽는다는 뜻이다). -> 윈도우를 소유한 쓰래드가 그 윈도우의 모든 메시지를 관장한다..
- Total
- 1,718,536
- Today
- 2
- Yesterday
- 17
- Entity Framework 1.0
- 83회 조직응용
- TI 수영
- Dream Theater
- stl.net
- PC3x
- Richter
- stanley lippman
- C++
- Entity Framework 4.0
- Logic Pro
- ORM
- COM
- 일본여행
- C++/CLI
- 도쿠가와 이에야스
- Karma Cutting
- U2
- UML
- A dramatic turn of events
- 배낭여행
- X.509
- Kurzweil
- Entity Framework
- stl/clr
- jordan rudess
- SWEBOK
- PKI
- 영화
- 수영